윈도우 XP 가 설치되어 있는 Sens R20 노트북에 유닉스 하나 리눅스 하나를 더 설치하려고 노력해 보았다. 하드디스크 전체 용량이 80기가 이중 윈도우 40 기가 솔라리스 20 센토스 20 이렇게 설치하려고 했다.
순서는 Win XP --> 솔라리스 10 --> CentOS 5.2 순으로 설치하였다.
기존에 돌고 있는 Win XP 를 가지고 C:, D: 로 분할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중 D: 파티션에 집중하여 OS를 설치시도함.
솔라리스 10부터 설치하였다. 먼가 진행되어가서 기분이 좋긴 하였으나 다 끝나고 나니 조금 이상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. 암튼 윈도우즈 시스템을 또 날려버렸는가 싶어 걱정하다가 나중에 확인해 보니 설치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나가버려서 생긴 문제가 있었다. 그래서 시간을 내어 재설치 작업을 끝내고 나니 익숙한 GRUB 이 뜬다.
솔라리스 설치할 때 언어를 한글로 선택했으나 나중에 확인해 보니 X-Windows 를 제대로 띄우지 못해 에러를 뿌릴때마다 글씨가 깨져 나온다. 노트북에서 솔라리스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 다시 느낀다. 그리고 CentOS를 설치한다. 이걸 설치하려고 하니 MB-BIOS 에러가 난다. 그렇지만 한참 지나서 설치는 계속 진행된다. ^^;; 포기하려고 했던 시간만큼 다시 시간을 내어 설칠르 진행한다. 역시 리눅스가 제일 깔끔하게 설치진행되어간다는 느낌이다.
그런데 리눅스를 설치하고 나서 재부팅 한 후 Grub 이 떴는데 솔라리스 선택사항이 없어져 버렸다. 그래서 인터넷을 뒤져본 결과 아래 내용을 발견한다.
그래서 현재 구성을 그대로 놓아둔채로 솔라리스를 재설치한다. 솔라리스 설치작업은 총 40~50분정도 잡아먹는다.
아래 설명되어 있는 것중에서
CentOS 리눅스의 grub.conf 를 편집하여 아래와 같이 솔라리스부팅을 위해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고 재부팅하면 솔라리스 10 부팅이 가능하다. 다만 이렇게 선택했을 때 솔라리스를 설치할 때 나오는 grub 이 한번 더 실행될 뿐이다.
title Solaris 10
rootnoverify (hd0,2)
chainloader +1
------
출처 : http://kr.blog.yahoo.com/rock4350/folder/9.html
1. 부트 관리자로 솔라리스 10의 grub를 이용한다.
(리눅스의 grub에선 솔라리스 영역을 인식 못 함. 따로 패치가 있는지는 모르겠음)
그러므로 솔라리스의 /boot/grub/menu.lst에 리눅스와 윈도우를 추가한다.
default 2 <--- 0부터 시작. 여기선 Windows XP가 기본 부팅 값
timeout 20 <--- 대기 시간(초)
splashimage /boot/grub/splash.xpm.gz
title Solaris 10
root (hd0,2,a) <--- 0,2 = 1번 하드, 3번 파티션
kernel /platform/i86pc/multiboot
module /platform/i86pc/boot_archive
title Solaris failsafe
root (hd0,2,a)
kernel /boot/multiboot kernel/unix -s
module /boot/x86.miniroot-safe
title Windows XP
rootnoverify (hd0,0) <--- 0,0 = 1번 하드, 1번 파티션
chainloader +1
title Debian GNU/Linux
root (hd0,5) <--- 0,5 = 1번 하드, 6번 파티션
kernel /vmlinuz root=/dev/hda6
initrd /initrd.img
2. 부트 영역을 솔라리스 파티션으로 둔다.
만약 솔라리스를 맨 마지막에 설치한다면 자동으로 그렇게 된다.
① 윈도우를 재설치하면 윈도우 파티션이 부트 영역이 되므로 grub가 안 뜬다.
이때는 리눅스 시디를 이용해 리눅스로 부팅해서 부트 영역을 솔라리스로 다시 잡아 준다.
- fdisk -l /dev/hda
Disk /dev/hda: 80.0 GB, 80026361856 bytes
255 heads, 63 sectors/track, 9729 cylinders
Units = cylinders of 16065 * 512 = 8225280 bytes
Disk identifier: 0x4c3e4c3d
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
/dev/hda1 1 1240 9960268+ c W95 FAT32 (LBA)
/dev/hda2 1241 8927 61745827+ f W95 Ext'd (LBA)
/dev/hda3 * 8928 9729 6442065 bf Solaris
/dev/hda5 1241 8213 56010591 7 HPFS/NTFS
/dev/hda6 8214 8863 5221093+ 83 Linux
/dev/hda7 8864 8927 514048+ 82 Linux swap / Solaris
- fdisk /dev/hda
command (m for help): a
Partition number (1-7): 3 <--- 솔라리스 파티션 번호
command (m for help): w
② 리눅스를 (재)설치하면 리눅스에서도 grub를 설치하기 때문에 부팅할 때 grub가 두 번 뜬다.
고로 리눅스에선 grub를 설치하지 않거나 이미 설치되었다면 삭제한다.
install-mbr -r /dev/hda
덧글을 달아 주세요